임플란트는 상태에 따라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며, 보험을 적용하면 치료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보험은 매우 제한적인 조건에서만 적용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임플란트에 보험을 적용하는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임플란트 보험 적용 기준은 무엇인가요?
임플란트는 잃어버린 치아를 대체하는 시술이며, 적절히 관리하면 20~30년 이상 지속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건강 보험의 재정적 제약으로 인해 임플란트 시술은 일부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아래에서 임플란트 보험 적용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연령 기준
임플란트 보험 신청 연령은 65세 이상입니다.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분과 65세 이상의 부양가족이 대상입니다.
보험 적용 범위
임플란트는 건강보험에서 1인당 최대 2개까지 적용되고, 치아의 위치에 관계없이 평생 2개만 적용합니다.
현재 건강보험 적용 범위를 1인당 4개로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많지만, 실제로 시행할 계획은 없습니다.
또한 치아가 전혀 없는 무치악 환자에게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자체 부담율
임플란트 보험 가입 시 환자부담금은 30%입니다.
예를 들어 치료비가 100만원이라면 30%, 즉 30만원만 내면 됩니다.
저소득층과 희귀난치성 질환 환자는 10%, 만성질환 환자는 20%만 내면 됩니다.
임플란트 수술 시 뼈이식 등 추가 시술이 필요한 경우 추가 비용은 건강보험에서 보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술 전에 건강보험에서 보장하지 않는 사항에 대한 명확한 상담을 받아야 합니다.
위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치아 위치에 상관없이
무치악 상태는 제외됩니다.
개인 부담률: 일반: 30%
저소득층 및 희귀·난치성 질환 환자 : 10%
만성질환 환자: 20% 추가 비용 뼈 이식 등 추가 치료 비용은 보험 적용 안 됨. 주의사항: 치료 전 비보험 품목에 대한 상담이 필요함.
치과 임플란트의 8가지 부작용은 무엇이며,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
임플란트 건강 보험에 대한 FAQ
의치도 건강보험에 포함되나요?
틀니도 건강보험 적용이 되고, 환자부담금은 30%입니다.
또한 임플란트와 달리 건강보험은 7년마다 적용됩니다.
임플란트 보험이 적용되면 가격은 얼마인가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임플란트 평균 가격은 1,212,070원이다.
건강보험을 적용하면 환자 부담은 30%로 임플란트 1개당 40만원 정도로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요약
지금까지 끼워 넣다 보험 가입 기준을 살펴보았습니다.
임플란트 건강보험 대상은 65세 이상이며, 본인부담률은 30%입니다.
1인당 평생 최대 2개 품목에 대해서만 건강보험을 받을 수 있으며, 치아가 전혀 없는 무치악 환자는 건강보험을 받을 수 없습니다.
반면 틀니의 경우 본인부담률은 30%로 동일하지만, 7년마다 건강보험 재가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본인의 치아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와 틀니를 동시에 받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